주요 사업
과학기술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획 평가 전문기관 KISTEP

주요 사업
조사·평가
연구개발활동조사 심층분석
- 사업명 과학기술혁신정책지원사업
- 과제명 연구개발활동조사 심층분석
- 연구책임자명 정유진
- 연구기간 2021-08-01 ~ 2022-02-10
- 보고서 유형 최종보고서
- 발행일 2022-04-01
- 발간번호 혁신정책2021-017
첨부파일
-
2021년 과학기술혁신정책지원사업 연구개발활동조사 심층분석-최종.pdf 다운로드
- 목적
- ㅇ 정책환경 변화 및 수요에 부합하는 연구개발 정보의 축적·활용·분석의 체계화·고도화
- 연구개발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책환경 변화로 인한 우리나라 연구개발활동 양태 변화 및 정책적 함의 도출 가능성 탐색
ㅇ 전문가협의체의 논의를 통해 2021년 심층분석 주제를 「바이오산업」으로 선정 - 주요내용
- ㅇ 주요국 연구개발활동조사 현황 및 비교 분석
- 주요국 연구개발활동조사 현황과 통계 비교 사례 조사
- 연구개발활동조사 심층분석 사례 조사
- 연구개발활동조사 및 심층분석 개선을 위한 시사점 제시
ㅇ 기초분석
- 바이오산업 기본 현황(연구개발비, 연구개발 인력, R&D 집중도, 매출액 등) 분석
- 4년 동안 동일한 기업의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기업의 성장 등 변화율 비교 분석
ㅇ 정책이슈 분석
- 바이오산업의 코로나19 전후 연구개발활동 변화 비교분석
ㅇ 심화분석
- 연구개발활동조사 심층분석 전문가협의체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수요조사를 진행
- 심층분석 주제, 분석방법, 데이터 등에 대한 서면 수요조사를 진행한 후, 우선순위 평가를 통해 최종 심화분석 이슈를 선정함
ㅇ 정책적 시사점 도출 - 결론
- ㅇ 데이터 기반 정책분석 및 정책의사결정에 기여
- 코로나19 전후의 연구개발투자 현황 및 추세를 파악할 수 있으며,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대응을 위한 정책 수립 시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
- 특히 코로나19에 직·간접적 영향을 받고 있는 바이오산업의 R&D 투자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
ㅇ 정립된 심층분석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도모
- 정책이슈 발굴, 우선순위 평가, 기초분석, 심화분석, 정책적 시사점 도출 총 5단계로 정립된 심층분석 프로세스를 타 산업으로도 확장·적용 가능
- 심층분석 주제 발굴 및 연구개발 정책·기획 관련 후속연구 추진에도 활용 가능 - 비고
유사한 주제의 보고서
-
#예비타당성조사 #국가연구개발사업 #R&D사전분석 콜로키움 #예비타당성조사 교육 #전문가 세미나
2022년 국가R&D사업 사전분석 전문 네트워크 구축 및 역량 강화 이태근(예비타당성조사2센터) 2023-01-10 -
#과제지원시스템 #연구자정보 #전문기관 #국가연구개발사업
정부 R&D 연구지원통합시스템 개발 및 구축 (1단계) 신문봉(표준화기획센터) 2022-09-28
메뉴 만족도 조사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
[평균 1.0점 / 1명 참여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