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홍보관
보도자료
K-콘텐츠, 게임체인저 문화기술과 글로벌 확산 전략
- 등록자 이혜진
- 등록일2023-10-17
- 분류행사
- 조회수358
□ 인공지능, 메타버스 등의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시·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가 도래하면서 콘텐츠 산업도 변화하고 있다.
ㅇ 디지털 휴먼, 가상공연 등 신기술 기반의 콘텐츠가 새롭게 등장하고 고도화되는 한편, 제조업, 관광업 등 타 산업과 융·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등 경제 전반에 대한 파급효과도 커지고 있다.
ㅇ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기를 거치며 콘텐츠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새로운 콘텐츠 문화*와 관련된 문제**들도 등장하고 있다.
* 온라인 K-POP 유료 공연 등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 소비 및 사업모델 등장
** AI 저작권, NFT 경매 등 새로운 형태의 저작권 및 소유권 이슈 등
ㅇ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 콘텐츠 기술 분야에 정부 연구개발비를 지속 투자하고 있으나, 그 규모는 총 R&D 예산의 0.45%에 불과하다(’22년 1,323억 원).
ㅇ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K-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정부연구개발투자 방향, 기업 연구역량 강화 방안, 전문인력양성 방안 등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.
□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(KISTEP, 원장 정병선)은
ㅇ 이번 행사는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된다.
* https://www.youtube.com/KISTEPTV (유튜브에서 ‘KISTEP’ 또는 ‘키스텝’ 검색)
□ 주제발표를 맡은 김기헌 한국콘텐츠진흥원 단장은 K-콘텐츠 산업 현황과 연구개발 성과를 진단하고, K-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문화기술(CT, Culture Technology) 연구개발 지원정책 방향을 제언한다.
ㅇ 기술과 문화의 융·복합이 본격화되고, 콘텐츠 산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문화기술의 특성을 반영한 전략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.
ㅇ 구체적으로는 지능형 콘텐츠 집중 지원, 문화기술 기반 글로벌 기업 육성, 저작권 이슈에 대한 신속대응 강화 등을 제시한다.
□ 이어지는 패널토론은 전승수 KISTEP 사업조정평가본부장의 진행으로 김태근 ㈜큐빅셀 대표이사(세종대학교 교수)와 이성희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참여한다.
ㅇ 김태근 대표이사는 창의적 문화 중심의 기술융합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탈근대 시대로의 이전 현상을 설명하고, 컴퓨팅 기술의 고도화가 창출한 가상세계 발전 동향을 소개한다.
ㅇ 이성희 교수는 문화기술의 특성과 미래 발전 방향을 설명하고, 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생산 비용·시간 절감, 콘텐츠 생산 저변 확대 등 한국문화의 영향력 확대 전략을 제안한다.
□ 정병선 KISTEP 원장은 “세계적으로 사랑받는 K-콘텐츠의 위상과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문화기술에 대한 전략적 목표 수립과 체계적 지원 방향을 고민해야 할 시기”라며,
ㅇ “문화기술 수준 제고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창의적 인재 육성과 게임체인저 기술 도입 등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”고 포럼 개최 의의를 밝혔다. (끝)
메뉴 만족도 조사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
[평균 3.00점 / 9명 참여]